본문 바로가기
이슈&뉴스/빅테크&스타트업 뉴스

생성형AI 도구 10가지|기업 실무에 바로 쓰는 툴과 한계까지 정리

by 개성김씨 2025. 4. 21.

챗GPT로 액션 피규어 이미지 만들기|사진 한 장으로 AI 피규어 완성!

▶ 지금 바로 관련 콘텐츠 확인하기

챗GPT, 구글 제미나이, 달리3, 런웨이ML 등 2025년 기업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생성형 AI 도구를 경험 기반으로 분석한 콘텐츠입니다.

생성형AI 도구 10가지|기업 실무에 바로 쓰는 툴과 한계까지 정리

2024년 이후 기업의 업무 풍경은 확연히 달라졌습니다.
회의록 작성, 마케팅 콘텐츠 제작, 고객 응대까지. 이제는 사람이 아닌 AI가 대신하는 시대입니다.
하지만 도구가 많다고 해서 모두 쓸만한 건 아니죠. 실제로 써본 입장에서 각 툴의 강점과 한계를 명확히 구분해야, 현장에 제대로 도입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생성형AI 도구 10가지를 골라 도입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실사용 후기를 기반으로 분석했습니다.

1. 생성형AI 도구란 무엇인가?

‘생성형AI(Generative AI)’는 단순한 자동화가 아닙니다.
사람처럼 텍스트, 이미지, 음성, 영상까지 ‘창조’할 수 있는 AI를 말하죠.

예전엔 정해진 답을 출력하던 AI가, 이제는 마케팅 콘텐츠, 프레젠테이션 디자인, 보고서 요약, 심지어 유튜브 영상까지 만들 수 있게 됐습니다.
기업 입장에선 비용 절감 + 업무 효율 + 콘텐츠 품질 향상이라는 1석 3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죠.

2. 실무에서 가장 많이 쓰는 생성형AI 도구 10가지

2.1 챗GPT

  • 장점: 텍스트 생성 능력 최고. 보고서, 마케팅 콘텐츠, 이메일 자동화에 유리
  • 단점: 정확성 이슈, 데이터 보안 주의
  • 활용 예: 고객 응대 FAQ, 주간 업무 보고서 초안, 블로그 초안

2.2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

  • 장점: 워드, 엑셀, PPT 등 MS365에 직접 통합돼 있음
  • 단점: 기업 라이선스 필요, 요약 정확도는 미세한 오류 가능
  • 활용 예: PPT 자동 디자인, 이메일 스레드 요약, 팀즈 회의 요약

“엑셀에서 조건부 분석할 때 코파일럿이 제안해주는 함수가 꽤 유용했어요. 생각보다 똑똑하더라고요.”

2.3 구글 제미나이

  • 장점: 텍스트 + 이미지 + 오디오까지 처리 가능한 멀티모달
  • 단점: 구글 워크스페이스 환경 외에는 한계
  • 활용 예: 슬라이드 자동 생성, 이메일 초안, 시트 데이터 분석

2.4 메타AI

  • 장점: 페이스북, 인스타, 왓츠앱 등 메신저 환경에서 바로 사용
  • 단점: 윤리 및 개인정보 이슈 발생 가능
  • 활용 예: 고객 응대 자동화, 소셜 콘텐츠 요약, 인스타 DM 자동화

2.5 달리 3

  • 장점: 텍스트 → 이미지 생성 특화, 챗GPT와 통합됨
  • 단점: 너무 'AI스러운' 스타일, 현실성 부족한 그림 존재
  • 활용 예: 제품 목업 이미지, 마케팅용 배너, 로고 디자인 시안

“달리3로 광고 시안 이미지 뽑아보고 클라이언트에게 선택 받는 식으로 활용했는데, 수정도 빠르고 아이디어 전달도 쉬웠어요.”

2.6 런웨이ML

  • 장점: 텍스트로 영상 생성 가능, 젠-2까지 출시됨
  • 단점: GPU 자원 많이 필요, 인터페이스는 초보자에겐 어려움
  • 활용 예: 광고용 숏폼 영상, 소셜용 B-roll, 튜토리얼 영상 샘플

2.7 스테이블 디퓨전

  • 장점: 로컬에서 고해상도 이미지 생성 가능, 오픈소스 기반
  • 단점: 조작법 학습 필요, 하드웨어 자원 요구
  • 활용 예: 제품 이미지, 캐릭터 시안, 의료용 시각화 자료

2.8 미드저니

  • 장점: 고품질 아트 스타일 이미지 생성, 직관적인 프롬프트 기반
  • 단점: 디스코드 플랫폼이 익숙하지 않으면 진입장벽
  • 활용 예: 브랜드 아이덴티티 시안, 감성 마케팅 이미지 제작

2.9 퍼플렉시티

  • 장점: LLM 기반 검색 엔진, 내부 데이터+웹 통합 검색 가능
  • 단점: 무료는 GPT-3.5만 제공, UI는 다소 단순
  • 활용 예: 사내 자료 검색, 실시간 산업 정보 모니터링, 가격 추적

2.10 클로드

  • 장점: '헌법형 AI' 원칙 기반, 비교적 명확한 응답
  • 단점: 답변이 장황할 수 있음
  • 활용 예: 문서 윤리 필터링, 고급 요약 작업, 외부 파트너 응대

3. 생성형AI 도구 도입 시 고려할 점

도구를 선택할 때는 아래 3가지를 반드시 체크하세요:

  1. 업무 적합성: 마케팅용인지, 데이터 분석용인지에 따라 툴 선택이 달라져야 함
  2. 보안 기준: 기업 내부 정보가 AI 서버로 넘어갈 가능성 있음. 보안 정책 필수
  3. 직원 적응도: 직관적인 UI, 충분한 교육자료 제공 여부 고려해야 함

4. 우리 회사에 맞는 AI 도구는?

모든 툴을 도입할 필요는 없습니다.
기업 규모, 사용 목적, 사내 협업 환경에 따라 맞춤형으로 선택하세요.

 

▶추천 조합 예시

  • 스타트업: 챗GPT + 미드저니 (콘텐츠 중심)
  • 중소기업: 코파일럿 + 퍼플렉시티 (업무 자동화 중심)
  • 대기업: 제미나이 + 런웨이ML + 사내 자체 LLM 연동

👇 더 다양한 실전 활용 사례가 궁금하다면?

지브리 AI 이미지 생성하는 법|챗GPT & 무료 사이트 총정리

▶ 지금 바로 관련 콘텐츠 확인하기

개성김씨 독자 여러분의 업무에도 AI를 더하세요.

올해 안에 회사에 AI 도입 계획이 있다면, 지금이 바로 실전 AI 툴을 검토할 타이밍입니다.
작은 자동화 하나가 팀 전체의 효율을 바꾸고, 콘텐츠 하나가 수익을 만드는 시대가 왔습니다.

 

 

 


×